오늘은 삼성 헬스 시리즈 계단 오르기 편입니다. 삼성 헬스 계단 오르기 기능이 있는 것을 다들 아셨나요?
삼성 기계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삼성 스마트폰, 삼성 스마트 워치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기능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헬스 계단 오르기 기능 활성화?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삼성 헬스에서는 현재 별도로 계단 오르기 운동의 버튼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습니다. 갤럭시 휴대폰에서는 자체적으로 원래 계단 오른 층 수 표현은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그나마 갤럭치 워치에서는 갤럭시 기어 시리즈와 액티브 시리즈 일부에 계단 오르기 기능이 따로 활성화 되어 있었지만 현재에는 ‘걸음 수 데이터’로 통합이 되어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삼성 헬스 담당자에 따르면 갤럭시 웨어러블 기기 및 모바일 삼성 헬스의 ‘오른 층 수’ 정보는 현재 ‘걸음 수’ 항목에서 지원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모델 기준으로 예를 들면 갤럭시 워치 4 내 걸음 수 항목에서 오른 층 수 확인이 가능합니다.
갤럭시 워치 4 > 삼성 헬스 > 걸음 수 > 오늘의 걸음 수 아래 ‘~층’ 표기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삼성 헬스 계단 오르기 기능 활용
삼성 헬스 계단 오르기 판단 기준
삼성 헬스 어플에서 계단을 오른 층 수를 인식하는 기준은 보통 3M 단위로 판단을 한다고 합니다.
실제로는 사용 환경에 따라 실제 층 수와 웨어러블 기기에서 인식된 층 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은 감안하고 활용을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삼성 헬스 계단 오르기 기능 찾기
많은 사람들이 삼성 헬스 운동 카테고리 안에 별도의 계단 오르기 기능을 추가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갤럭시 워치 5 버전에서도 아직은 추가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앞에서도 말 했듯이 삼성 헬스 내부에 있는 걸음 수 확인을 들어가게 되면 계단 표시 위로 화살표가 생기면서 오른 층 수가 표시되게 됩니다.
삼성헬스 계단 오르기 실행 방법

이처럼 오른 층 수가 표시된 것을 보면서 본인의 운동량을 파악해야 합니다.
먼저 삼성 헬스 기능에 들어가서 운동 카테고리 중 걷기를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걷기 운동을 계단 오르기의 일종으로 생각하고 시작을 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활용을 하다 보면 걷기를 누르고 운동을 하더라도 운동 기능이 비 활성화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아무래도 GPS값 상 앞뒤의 거리 움직임이 없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다른 방법이 없다보니 이런 식으로 실행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삼성 헬스 계단 오르기 대체할 수 있는 운동 카테고리

삼성 갤럭시 휴대폰 모바일과 갤럭시 워치의 계단 오르기 기능이 꾸준하게 요구되어도 아직 나오지 않았기에 대체할만한 운동 카테고리를 찾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삼성 측에서 추천하는 기능을 한 번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삼성 측에 따르면 명시적으로 계단 오르기 기능이 들어가진 않았지만, 스텝머신 운동이라는 기능을 추가하여 계단 오르기를 대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계단 오르기 운동을 하기에 앞서 현재 삼성 헬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운동 종목 중 [스텝머신]을 통해 측정하실 것을 권장드린다고 합니다. 설정 방법으로는, 갤럭시 워치 > 삼성 헬스 > 운동 > 운동 선택 > 스텝머신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운동 측정을 완료하신 후, 아래 경로를 통해 모바일 삼성 헬스 앱에서 운동 이름을 설정하여 원하는 운동 종목으로 기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모바일 삼성 헬스 > 운동 기록 보기 > 저장된 [스텝머신] 기록 선택 > 우측 상단 더 보기 > 이 운동에 이름 설정 > 운동 이름 입력 >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