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병 증상과 열사병 원인

여름철만 되면 열사병으로 쓰러진 사람들의 뉴스 기사를 종종 보게 됩니다. 뜨거운 햇볕 밑에서 일하거나 과도한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생기는 현상입니다.

열사병 증상은 어떤 것이 있고, 열사병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열사병 증상

열사병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는 바로 고열과 어지러움증 입니다. 하지만 정작 환자 본인은 체온이 상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증상이 더 악화되기도 합니다.

뜨거운 여름에 햇빛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열이 나는 것에 대한 판단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다른 열사병 증상으로는 현기증, 무기력감, 허약감, 운동능력 저하, 피로, 두통, 시야 흐림, 근육통, 구토, 심한 경우 실신 등이 열사병의 대표적인 증상들입니다.

체온은 최대 40도 이상까지도 올라간다고 합니다.

체온조절의 실패는 뇌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환자가 혼란스러워하고 방향 감각을 잃게 되며 발작을 겪거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기본적으로 심박수와 호흡수가 빨라지게 하고 고혈압, 저혈압 등 혈압을 비정상적으로 만들어 놓는다고 합니다.

또한 열사병이 계속 지속되는 초기 순간에는 피부가 뜨거워지고, 얼굴에 붉은 기가 올라오며, 건조해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때 땀을 배출하여 열을 내려주는 역할을 하여야 하는데 순간적으로 열사병은 이러한 땀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증상이 악화된다고 합니다.

열사병이 위험한 이유는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합병증의 대표적인 예로는 혼수, 간질발작, 횡문근 융해증, 신부전, 급성호흡부전증후군, 심근손상, 간손상, 허혈성 장손상, 췌장손상,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다고 합니다.

열사병은 순식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고 회복되는 법이 없으며 응급상황 순간 빠르게 체온을 낮추지 않으면 생명까지 앗아갈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열사병 원인과 예방

그렇다면 이런 열사병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처음에 햇볕, 실내온도의 상승이 체내의 열을 상승시키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체온이 상승하면서 체온조절중추가 열을 식히기 위해서 노력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 때 땀을 내어 몸 속의 뜨거운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땀을 통해서 열을 증발 시켜내는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문제는 습도가 많은 날입니다.

건조한 날씨와 환경이라면 이런 식으로 땀을 내어 건조시킴으로써 열이 기화되어 날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습도가 높은 날에는 땀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고 신체에 붙어 있어 열이 제대로 내려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중추에서 땀을 흘리도록 신호만 계속 주고 땀은 나는데 열은 안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 몸 속의 수분은 빠지고 점점 체온은 올라가면서 열사병까지 확대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열사병은 뜨겁고 습한 주위 환경으로 인한 신체 열이 상승하고, 땀 배출을 통한 체온 내리기가 실패하면서 외부의 온도를 그대로 체온으로 받아들여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 결과, 체온은 40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고, 뇌의 인지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바뀌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위와 같은 증상들이 발현하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서 한번 살펴 보았습니다.

무더운 날씨에 다들 무리한 운동이나 작업은 피하시고 일정 시간 작업을 한 이후에는 햇볕이 없는 곳이나 에어컨 밑에서 반드시 건조시킨 후 다시 일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열사병에 있어 수분 보충 역시 중요하니 물 한병 정도는 반드시 챙겨서 작업 현장에서 주기적으로 섭취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